11월, 12월에 본 다섯 편의 영화 쓰고 생각났는데 11월에 <로스트 인 더스트>도 봤었다;; 내 아이디로 예매한게 아니라서 깜빡.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1월의 아트하우스 Day를 이용해서 봤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보고 나니 <죽여주는 여자>, <로스트 인 더스트>, <나, 다니엘 블레이크> 세 영화가 한 궤도에 있단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에서 소외된 사람들. 세세한 이야기는 달라도 보고 나서 느끼는 감정은 비슷했다. 주인공들이 처한 상황을 유발한 근본적 원인이 같기 때문에. 요즘 이런 영화들이 계속 나오는게 전세계적으로 어렵구나 싶기도 해서 이 영화들 을생각할 때마다 마음이 무겁다.
만족도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4.5) > 죽여주는 여자(3.5) > 로스트 인 더스트(3.0). 가장 현실감 드는 건 아무래도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한 <죽여주는 여자>였지만, <나, 다니엘 블레이크>가 이야기하는 시혜적 복지주의와 관료주의의 문제점이 우리나라라고 없는 건 아니니까. 예측가능한 결말이라도 끝에 다다라서는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것은 켄 로치의 묵직한 질문 덕이다. 나는 다니엘이 될 수도 있고, 케이티가 될 수도 있다. 누군가는 이미 또 다른 다니엘일 수도 있겠지.
이 영화를 보면서 예전의 '무상급식' 논란이 생각났다. 정확히는 '무상급식'이라는 표현에 대한 논란. 세금으로 급식비를 충당하는 것인데 '무상'이라는 표현을 씀으로서 "왜 공짜로 밥을 먹이느냐"는 반발을 일으켰지. 적확하게는 세금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급식을 제공하여 급식비를 내기 어려운 형편의 아이들의 자존심을 다치게 하지 않으면서 급식을 지원해주겠다는 거였는데. 그 단어에서조차 '누군가에게 베풀어준다는' 시혜적 복지주의가 엿보인다. 최소한의 인간다움을 나라에서 보장한다는게 그렇게 반발을 살만한 일이었는지. 여러가지로 마음이 복잡해지는 영화였다. 잘만든 영화라고 생각하지만 다시 보긴 힘들 것 같은.
'라이프 온 스크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월에 본 영화 다섯 편 (0) | 2017.07.21 |
---|---|
반지의 제왕 / 헥소 고지 / 23아이덴티티 (0) | 2017.03.06 |
11월, 12월에 본 다섯 편의 영화 (0) | 2016.12.31 |
10월에 본 영화들 (0) | 2016.11.10 |
9월에 보았던 영화들 (0) | 2016.11.04 |